
일자목 증후군, VDT 증후군 예방운동 및 생활습관 일자목 증후군, 거북목 증후군 일자목 증후군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경추(목뼈)가 일자로 굳어져 목통증을 일으키며, 어깨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VDT 증후군 (Visual Display Terminal Syndrome) VDT 증후군은 장시간 동안 컴퓨터, 스마트폰, 모바일 디바이스 등을 사용하는 사람들에게 많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장시간 모니터를 보고 키보드를 사용하는 작업을 하면서 생기는 눈의 피로, 어깨와 목의 결림, 구토 등 신체적, 정신적 장애를 칭합니다. 거북목증후군의 자가진단과 원인, 증상 / 일자목 증후군, 라운드 숄더 거북목 증후군 / 일자목증후군 거북목 증후군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경추가 일자로 굳어져 목통증을 일..

위축성 위염과 장상피화생 위축성 위염 위축성 위염은 오래 지속된 위점막 염증으로 인해 위 점막의 세포가 위축되어 얇아진 상태로 만성 위염의 가장 흔한 형태 중 하나입니다. 위내시경 검사에서 위점막이 얇아져 혈관 모양이 자세히 관찰될 때 진단됩니다. 위 점막이 얇아졌다고 건강, 소화 기능에 문제가 생기는 것은 아니며 전 국민의 10% 이상이 갖고 있을 정도의 흔한 만성 위염으로 위축성 위염 자체가 질병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정상적인 위는 위산이 분비되어 세균이 증식하지 못하지만, 위축성 위염은 위산 분비가 감소하여 세균 증식이 쉬운 상태가 됩니다. 위 속의 세균 증식은 위암 발생 빈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특별한 증상이 없는 사람도 있으며, 만성 소화불량으로 식후 답답함, 울렁거리는 불쾌감, 압..

과민성대장증후군 약 과민성장증후군의 약물치료는 증상에 기반해 크게 변비, 설사, 복통 치료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약은 증상 완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변비 우세형 : 완하제(변비약) • 설사 우세형 : 지사제(설사약),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 복통이 있는 경우 : 진경제, 항우울제 ▷ 완하제, 지사제, 진경제는 단기적으로 필요시 복용하거나, 증상이 악화되기 전에 미리 복용할 수 있습니다. ▷ 항우울제는 저용량으로 시작하고, 취침 전에 복용합니다. 효과가 늦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3~4주 정도 치료를 지속해야 합니다. 1. 완화제 (변비약) 완하제(변비약)는 일시적으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복용하며 장기 복용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7일 정도 복용 후에도 증상의 개선이 없으면 복용을 중..

척주기립근, 척주세움근 척주기립근은 척추뼈를 따라서 길게 세로로 뻗어 있는 근육을 말합니다. 척주기립근은 척주를 똑바로 서게 만드는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몸통의 코어근육으로 두 발로 서서 직립보행을 하는 사람에게는 매우 중요합니다. 승모근과 광배근의 안쪽에서 기립근이 지탱해주고 있기 때문에 몸의 체형을 바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척추기립근은 잘못된 표기이며, 개별 척추뼈를 세우는 근육이 아닌 척주, 기둥을 세우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척주기립근이라 합니다. 척주기립근의 우리말은 척주세움근이라고 합니다. ☆ 척주 : 척추뼈와 척추사이 원반들이 합쳐져 하나의 척주(Vertebral Column)를 이루게 되며, 기둥을 이르는 말입니다. ☆ 척추뼈(Vertebrae) : 7개의 목뼈, 12개의 등뼈, 5개의 허..

단순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란 단순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는 사람 헤르페스 바이러스(human herpes viruses)에 속하는 단순포진 바이러스 1, 2(HSV-1, HSV-2)에 의해 피부나 점막이 감염되어 물집(수포)이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1형은 주로 상체에 구순포진을 일으키며, 2형은 주로 외음부에 감염되어 음부포진을 일으킵니다. 1, 2형 모두 어느 부위에나 감염될 수 있으며 음부포진 환자의 약 15~20%는 1형에 의해 발병된다고 하며, 매우 흔하고 전염성이 높은 질병입니다. 대개 젊은 성인에게서 많이 발병하는 편이고, 전 세계 50세 이하의 사람들 중 67%가 HSV-1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염 단순포진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체액, 병변에서 바이러스가 배출되고 ..

멕켄지 신전운동 멕켄지 신전운동은 뉴질랜드의 물리치료사인 로빈 멕켄지 이름이 붙은 운동법으로 1981년에 만들어졌습니다. 사람의 허리뼈는 자연스러운 곡선인 요추 전만 상태입니다. 요추 전만 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운동인 멕켄지 신전운동은 요통, 좌골신경통 등 허리디스크와 관련된 허리 통증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운동법이며, 거북목 증후군을 막고 목디스크를 치료하는 역할도 합니다. 많은 사람들이 허리 때문에 고통받는 것은 허리에 나쁜 운동과 허리에 좋은 운동을 잘 모르고, 허리 디스크를 망가뜨리는 나쁜 자세, 나쁜 동작, 나쁜 운동을 반복하다 허리 디스크가 손상되기 때문입니다. ☆ 신전운동 : 신체 각 부위의 근육을 충분히 펴는 것을 목적으로 한 부분 운동 ☆ 요추 전만 : 요추는 허리등뼈라고도 하며, 전만은 ..

거북목 증후군 / 일자목증후군 거북목 증후군은 잘못된 자세로 인해 경추가 일자로 굳어져 목통증을 일으키며, 어깨의 근육과 인대가 늘어나는 증상을 말합니다. ☆경추: 7개의 등골뼈로 된 척추의 맨 윗부분. 목을 구성하는 7개의 뼈를 말하며, 척추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고 머리의 회전, 흔들기, 끄덕임 등의 운동을 합니다. 거북목 자세 ▷ 목뼈 전만(C자 형태의 목의 정렬) 소실 ▷ 목뼈 후만(정상적인 C자가 좌우가 바뀐 모양) 변형 ▷ 전만과 후만이 동시에 관찰되는 S자 목 형태 ▷ 머리가 숙여지지 않은 상태에서 고개가 앞으로 빠진 자세 건강한 목뼈는 옆에서 봤을 때 귀가 어깨뼈와 같은 선에 있고, 인체에서 가장 무거운 부위인 머리의 하중을 감당하기 위하여 30~35도 정도 앞쪽으로 굽어진 C자 곡선을 형..

구내염이란 구내염이란 입 안 점막(치아 주위 잇몸, 볼이나 입술 안쪽 점막, 입천정의 구개점막, 혀와 주변 점막) 및 입 주변에 염증이 생기는 매우 흔한 구강 내 염증성 질환을 말합니다. 구강 내 어느 부위에나 발생할 수 있으며 통증과 궤양이 동반되어 다양한 형태로 나타납니다. 구내염은 형태에 따라 궤양성, 수포성, 미란성 구내염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궤양성 구내염 입 안에 원형, 타원형의 깊이가 얕은 궤양이 생기는 경우로 재발성 아프타성 구내염, 외상성 궤양 등이 있습니다. 외상이나 영양 결핍, 스트레스, 피로, 호르몬 변화 등이 발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수포성 구내염 점막, 입 주변에 수포가 생기는 경우로 바이러스에 의한 구순포진, 대상포진, 수족구병 등이 있습니다. ..

거담제 거담제는 가래를 제거하는 약물에 국한되어 쓰이거나, 진해거담제라는 단어에서와 같이 넓은 의미로 가래의 성상과 양, 배출에 영향을 미치는 점액작용제 전체를 말하기도 합니다. 거담제는 점액이 잘 배출되게 하거나 점액의 생성, 점도를 조절하는 작용을 하며 약리작용에 따라 점액용해제, 객담배출제(거담제), 점액조절제, 점액활성제로 분류됩니다. 거담제를 복용할 때에는 가래의 배출을 위해 수분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합니다. 또한, 시럽제의 경우 혈당을 높일 수 있으므로 당뇨병 환자 및 저칼로리 식이요법 중인 환자에게는 신중히 투여해야 합니다. 가래 폐 또는 기관지에서 분비되는 물질이 입 밖으로 배출되어 나온 것을 말하며 객담, 담이라고도 말합니다. 정상적인 상태에서 기도의 점막을 보호하기 위해 지속적으로 분비..

히드로코르티손 히드로코르티손은 항염증성 부신피질호르몬제로 전신적 염증 증상, 피부, 급성 외이염, 치질 등을 치료하는 약물입니다. 히드로코르티손은 염증을 일으키는 단백합성 속도를 조절하고, 다형핵 백혈구(핵이 여러 개로 나눠진 백혈구로 감염성 질병과 외부 물질로부터 신체를 보호)와 섬유아세포(섬유성 결합조직의 중요한 성분을 이루는 세포)의 이동을 억제하며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줄여서 염증을 억제합니다. 특히, 혈관 확장 물질의 분비를 억제하여 혈관 수축 작용을 합니다. 히드로코르티손 외용제 농도에 따른 등급 농도 class 정도 히드로코르티손 2.5% Class 5 중간 낙산히드로코르티손 0.1 Class 5 중간 길초산히드로코르티손 0.2% Class5 중간 초산히드로코르티손 1% 이하 Class 7 가..